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Amazon RDS 구축 프리티어 계정

by SayHiWorld 2024. 10. 1.

RDS의 개념은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다.

2024.09.30 - [분류 전체보기] - RDS

 

RDS

RDS는 Relational Database Service의 약자로, 데이터베이스 서버라고 생각할 수 있다. 예를 들어 예전에 유행했던 크레이지 아케이드 게임을 생각해보자. 크레이지 아케이드 플레이어는 해피 서버, 또

say-hi-world.tistory.com


0. Datagrip 이란?

 

DataGrip은 JetBrains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도구로, 여러 데이터베이스 관리 기능을 통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.

 

DataGrip은 독립적인 프로그램이다. 즉 IntelliJ처럼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으로 설치해서 사용한다.

 

DataGrip

 

 

 

 


1. AWS RDS 인스턴스 생성

1. AWS 콘솔 접속 및 RDS 서비스 선택

  • AWS Management Console에 로그인한다.
  • **RDS (Relational Database Service)**를 찾고 클릭해서 이동한다.

2. 데이터베이스 생성 방식 선택

 

- 표준 생성을 선택하여, 요금이 부과되지 않도록 설정을 구성한다. 

 

3. 데이터베이스 엔진 선택

  • 데이터베이스 엔진을 선택하는 단계에서 MySQL, PostgreSQL, Oracle, SQL Server 등 사용하고자 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선택한다.
  • MySQL을 선택한 상황을 가정하여 설명을 진행한다.

4. 템플릿 선택

  • 사용 사례에 따라 템플릿을 선택한다 :
    • Production: 운영 환경에 적합한 구성으로 권장됨.
    • Dev/Test: 개발이나 테스트 환경에 적합한 구성.
    • Free Tier: 무료로 테스트해볼 수 있는 옵션으로, 비용을 줄이고 싶다면 선택. 

5. DB 설정

  • DB 인스턴스 식별자(DB instance identifier): 데이터베이스 인스턴스의 이름을 지정한다. 
  • 마스터 사용자 이름 (Master username):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할 수 있는 루트 사용자 이름을 설정해. 기본으로 admin이 설정된다. 
  • 마스터 비밀번호(Master password) 및 확인: 사용자가 설정한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확인한다.

6. 인스턴스 설정

  • 인스턴스 클래스(Instance class): 데이터베이스 인스턴스의 성능 사양을 선택한다. 예를 들어, db.t3.micro 같은 작은 인스턴스를 선택해야 요금이 부과되지 않을 수 있다.
  • 스토리지: 데이터베이스 인스턴스에 사용할 스토리지 크기를 설정한다. 기본적으로 SSD와 최소 크기인 20을 권장한다. 
  • 스토리지 자동 조정 체크를 해제하여야 의도치 않게 스토리지가 늘어남으로써 발생하는 비용을 막을 수 있다. 

7. 접속 및 보안 설정

  • VPC(Virtual Private Cloud) 및 서브넷 선택 : 기본적으로 VPC를 선택한다. 인스턴스를 어떤 네트워크에서 운영할지 결정한다.
  • 퍼블릭 액세스 가능 여부(Publicly accessible): **예(Yes)**로 설정하면 외부에서 접속이 가능하다. 해당 실습에서는 외부 접속까지 마쳐야 하므로 '예'를 선택한다. 
  • VPC 보안 그룹: 인스턴스를 보호하는 보안 그룹을 선택한다. 기본 보안 그룹을 사용하였다.
  • 포트번호는 MySql 기본 포트번호인 3306을 사용한다.

8. 추가 구성에서 초기 데이터베이스 생성

  • 데이터베이스 이름(Database name): 데이터베이스의 이름을 지정하지 않으면, 데이터베이스가 생성되지 않는다. 

9. 백업 및 유지 관리

  • 백업(Backup): 요금 부과 방지를 위해 꺼두었다. 
  • 모니터링 및 유지관리 업그레이드 : 요금 부과를 방지하기 위해 꺼두었다. 

10. 데이터베이스 생성 완료

  • 모든 설정이 끝나면 "Create database" 버튼을 클릭해 데이터베이스 인스턴스를 생성한다.